반응형
인류가 번영하는 한 자동차 산업은 지지 않고 지속될 것입니다. 비록 미래의 차들이 캡슐모양의 작은 형태나 바퀴가 아닌 자기부상 등의 떠다니는 방식을 사용할 지 언정 그것은 단지 형태만 바뀔 뿐이죠. 사람들은 목적지까지 빠르고 편하게 이동할 개인교통수단을 계속해서 찾을 것이고, 이 때문에 자동차 산업은 계속 발전할 수 밖에 없을 겁니다.
앞으로의 자동차가 어떤 모습이나 어떤 요소를 갖추게 되느냐는 자동차 전문가들과 미래학자들 사이에서도 재미난 토론 거리입니다. 현재 논란의 여지가 없는 이구동성의 사실은 앞으로의 자동차들은 석유라는 한정된 자원의 문제와 환경 오염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외면할 수 없다는 것이죠.
이미 수년 전부터 국제 모터쇼에서는 ‘연비’와 함께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가 출품차량의 제원표에서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근래에 들어서야 우리나라에서는 가솔린과 전기의 혼용엔진(하이브리드)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늘어나고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죠.
하지만 세계 유수의 자동차 업체들은 수십 년 전부터 차세대 자동차 개발에 매달렸습니다. 이미 20-30년전 석유자원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를 예상하고 현재의 가솔린 엔진을 대체할 차세대 엔진을 개발을 시도한 것입니다. 덕분에 현재 일본 자동차 업체는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 부문에서, 유럽의 자동차 업체들은 디젤 분야에서 탁월하게 두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들 나라에 비해, 미국의 자동차 업체들은 차세대 엔진에 대한 투자나 개발이 부족했습니다. 석유의 지하 매장량이나 원유비축이 상당하기 때문은 아니었을까요? 또한 전세계에서 기름값이 가장 저렴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오히려 대배기량의 차량들이 인기를 끄는 ‘이상한’ 나라 중 하나였습니다. 그만큼 소비자나 자동차 업계 또한 미래에 대한 위기감에 치열하게 다가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다만 최근 들어 미국자동차 업계 역시 GM을 필두로 차세대 자동차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새로운 오바마 행정부 또한 자동차 업계에 애정 어린 지원을 아끼지 않는 듯 보입니다. GM이 양산에 들어간 전기차 볼트는 그 노력의 정점에 있는 모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LG화학이 개발한 첨단 배터리가 장착된다고 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기존에 시장에 선보인 전기자동차들이 가지는 한계는 명확했습니다. 일반 도로를 달리기엔 저속이라는 점, 수십km에 불과한 주행가능거리, 이에 비해 긴 충전시간, 그리고 대체로 작은 사이즈의 자동차라는 것이죠. 이 때문에 순수 전기차는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습니다.
GM의 볼트는 ‘가솔린 발전기’를 장착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했습니다. 4인이 탑승하면서 짐까지 실을 수 있는 일반 차와 다름없는 사이즈로 공간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했죠. 최고속도 160km에 달해 고속도로에 올리기도 무리가 없다. 항속 가능한 거리 또한 570km에 달하구요. 충전 걱정 없이 필요할 땐 가솔린을 넣으면 발전기가 돌아가기에, 차는 충전을 하면서도 달릴 수 있습니다.
‘가솔린 발전기’가 사실상 준엔진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냐고 해서, 볼트를 순수한 전기차로 볼 수 있느냐가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도로 위를 달리기엔 부족할 것만 같았던 전기차를 당장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끔 현실성 있는 대안으로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순수 전기차냐 아니냐는 것을 따지는 것은 탁상공론이 아닐까요. <쉽고 재밌는 수입차 이야기&라이프-오토앤모터>
앞으로의 자동차가 어떤 모습이나 어떤 요소를 갖추게 되느냐는 자동차 전문가들과 미래학자들 사이에서도 재미난 토론 거리입니다. 현재 논란의 여지가 없는 이구동성의 사실은 앞으로의 자동차들은 석유라는 한정된 자원의 문제와 환경 오염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외면할 수 없다는 것이죠.
이미 수년 전부터 국제 모터쇼에서는 ‘연비’와 함께 ‘이산화탄소 배출량’에 대한 데이터가 출품차량의 제원표에서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근래에 들어서야 우리나라에서는 가솔린과 전기의 혼용엔진(하이브리드)에 대한 관심과 수요도 늘어나고 점차 확대되는 추세에 있죠.
하지만 세계 유수의 자동차 업체들은 수십 년 전부터 차세대 자동차 개발에 매달렸습니다. 이미 20-30년전 석유자원 고갈과 환경오염 문제를 예상하고 현재의 가솔린 엔진을 대체할 차세대 엔진을 개발을 시도한 것입니다. 덕분에 현재 일본 자동차 업체는 가솔린-전기 하이브리드 부문에서, 유럽의 자동차 업체들은 디젤 분야에서 탁월하게 두각을 보이고 있습니다.
전기하이브리드의 대표작-도요타 프리우스 |
효율성 높은 유럽 디젤, 골프 블루이모션 |
이들 나라에 비해, 미국의 자동차 업체들은 차세대 엔진에 대한 투자나 개발이 부족했습니다. 석유의 지하 매장량이나 원유비축이 상당하기 때문은 아니었을까요? 또한 전세계에서 기름값이 가장 저렴한 편에 속하기 때문에 오히려 대배기량의 차량들이 인기를 끄는 ‘이상한’ 나라 중 하나였습니다. 그만큼 소비자나 자동차 업계 또한 미래에 대한 위기감에 치열하게 다가오지 않았을 것입니다.
다만 최근 들어 미국자동차 업계 역시 GM을 필두로 차세대 자동차 개발에 역점을 두고 있습니다. 새로운 오바마 행정부 또한 자동차 업계에 애정 어린 지원을 아끼지 않는 듯 보입니다. GM이 양산에 들어간 전기차 볼트는 그 노력의 정점에 있는 모델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LG화학이 개발한 첨단 배터리가 장착된다고 해서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기존에 시장에 선보인 전기자동차들이 가지는 한계는 명확했습니다. 일반 도로를 달리기엔 저속이라는 점, 수십km에 불과한 주행가능거리, 이에 비해 긴 충전시간, 그리고 대체로 작은 사이즈의 자동차라는 것이죠. 이 때문에 순수 전기차는 현실성이 없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습니다.
전형적인 전기차, 미쯔비시 아이미브
GM의 볼트는 ‘가솔린 발전기’를 장착하면서 이러한 문제를 모두 해결했습니다. 4인이 탑승하면서 짐까지 실을 수 있는 일반 차와 다름없는 사이즈로 공간 효율성과 안전성을 확보했죠. 최고속도 160km에 달해 고속도로에 올리기도 무리가 없다. 항속 가능한 거리 또한 570km에 달하구요. 충전 걱정 없이 필요할 땐 가솔린을 넣으면 발전기가 돌아가기에, 차는 충전을 하면서도 달릴 수 있습니다.
‘가솔린 발전기’가 사실상 준엔진에 해당하는 것이 아니냐고 해서, 볼트를 순수한 전기차로 볼 수 있느냐가 논란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중요한 건 도로 위를 달리기엔 부족할 것만 같았던 전기차를 당장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게끔 현실성 있는 대안으로 만들었다는 것입니다. 순수 전기차냐 아니냐는 것을 따지는 것은 탁상공론이 아닐까요. <쉽고 재밌는 수입차 이야기&라이프-오토앤모터>
반응형
'자동차 > 컬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국지만큼 재밌어지는 한국 자동차 시장! (3) | 2011.03.02 |
---|---|
시보레 카마로가 '고작 4700만원'인 이유 들어보니 (14) | 2011.02.21 |
낭만적인 이름의 자동차? 알파'로메오 줄리엣' (4) | 2011.02.16 |
연비에 얽힌 개인적인 수입차 에피소드 (2) | 2011.02.15 |
당신이 한국GM(GM대우)의 사장이라면? (5) | 2011.02.09 |
2011년엔 '수입차'가 국산차보다 더 싸진다!? (9) | 2011.01.07 |
당신의 엔진오일은 안녕하십니까? (3) | 2010.12.13 |
'4륜구동=지프?' 지프의 유래는? (1) | 2010.11.25 |
자동차 엔진, 빼먹지 말아야 할 관리대상은? (4) | 2010.11.22 |
돈 주고도 살 수 없었던 페라리 이야기 (0) | 2010.11.12 |